본문 바로가기
- 건강 정보

가정집 빈대 출몰? 빈대 생김새, 물린 자국, 증상 등 총정리

by 백살라이프 2023. 11. 19.
반응형

 

빈대총정리

 

최근 공동·숙박 시설을 중심으로 빈대 출현 신고가 이어지면서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등 관계 부처는 빈대 확산을 막기 위해 방제 방법을 알리고 있습니다. 
실내 어딘가에 숨어 있다가 사람이 잠든 어두운 밤에 슬그머니 기어 나와서 피를 빨아먹고 사라지는 빈대.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했습니다. 빈대는 우리 집의 어디에 서식하고, 어떤 생태 특징을 보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빈대란?

빈대 = Bed Bug

벼룩, 머릿니와 함께 최악의 3대 실내 해충으로 꼽힙니다.

 

 

 

국내 빈대 발생 현황

11월 18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전국에 접수된 빈대 신고는 32건을 기록했습닏. 2014년부터 올 초까지 질병관리청에 접수된 빈대 관련 신고는 9건이었으나 최근 신고 건수가 지난 10년치를 앞질렀습니다. 서울과 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에 빈대가 출몰하면서 신고 건수도 지속해서 늘고 있습니다. 지난 6일부터 12일까지 지자체 및 정부에 신고된 빈대 신고 및 발생 견수는 155건입니다.

 

 

 

빈대 생기는 원인

1. 국내

1960년대 새마을 운동과 1970년대 살출제 도입 등으로 개체 수가 줄면서 사실상 박멸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 19 대유행 이후 증가한 외국인 유입과 기후 변화 등을 이유로 다시 늘고 있습니다.

 

2. 해외

개발도상국 뿐 아니라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등 해외 모든 국가에서도 나타납니다. 빈대는 5성급 호텔과 리조트에서도 발견되기 때문에 청결도와 무관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빈대 생김새 

빈대 생김새, 특징

1. 사과 씨와 같은 적갈색

2. 날씬하고 납작, 편평한 몸체

빈대 성충은 길이 5-6mm이며, 약충은 성충에 비해 더 작고 옅은 색깔을 띱니다.

작은 틈·공간에도 들어갈 수 있고 피를 먹지 않고 오랫동안 그 자리에 머물 수 있습니다.

 

 

 

빈대 특

1. 고온에 약합니다.

2. 모기보다 7~8배 흡혈

    1주일에 1~2회, 10분간, 몸무게의 2.5배~6배를 흡혈합니다.

3. 감염병 유발 및 전달 X

4. 노린내, 곰팡이와 비슷한 냄새를 풍깁니다.

5. 눌려서 죽으며 혈흔이 묻어있을 수 있습니다.

6. 빈대 배설물은 적갈색입니다.

7. 이른 새벽이 주 활동 시간

   빛을 싫어해 낮에는 섬유질, 목재, 종이로 된 틈새에 숨어 있습니다. 흡혈 후에는 다시 어두운 틈 사이로 숨습니다.

    주로 이른 저녁과 밤, 특히 새벽에 활동하는 습성으로 수면 중인 사람의 피를 빨아먹습니다.

    사람이 잠을 자는 위치와 가까운 곳에 서식합니다.

 

    

 

빈대 서식지

빈대 서식지

- 어두운 곳에서 서식

침대 매트리스, 침대 머리판 뒤, 침대 프레임, 카펫, 협탁, 소파, 책장, 벽지, 창틀, 액자 뒤, 콘센트 주변, 바닥과 벽면이 맞닿는 곳, 베개와 이불 이음새 등에 주로 서식합니다.

특히, 침대 모서리나 매트리스 사이를 집중적으로 확인하면 좋습니다.

 

 

 

빈대 물린 자국 

빈대 물린 자국

1. 모기에 물린 것과 비슷한 증상

2. 홍반성 피부 병변

    황반구진, 소낭, 수포

3. 옷에 가려지지 않아 노출된 피부를 문다.

4. 혈관을 찾지 못해 2~3곳을 연달아 물고, 물린 자국이 일렬이나 원형으로 남는다.

 

 

 

빈대 물렸을 때 증상

빈대 물렸을 때, 빈대 가려움, 빈대 아나필락시스

1. 가려움증 유발

빈대에 물렸을 경우 피부 가려움이 생길 수 있고 야간에 활발히 활동하는 탓에 수면방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아나필락시스(Anaphylacis) 주의

빈대 여러 마리에 동시에 물리면, 사람에 따라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가 나타나 고열과 염증 반응을 겪을 수 있습니다.

 

 

 

빈대에 물렸을 때 대처법

 

사람마다 반응 시간이 다르며 바로 아프거나 가렵진 않습니다.

물린 자국이 확인되고 가려움증이 나타나기까지 잠복기는 최대 10일입니다.

 

 

1. 물과 비누로 씻어냅니다.

2. 2차 감염 예방을 위해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크림, 경구용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합니다.

 

 

 

 

 

빈대 퇴치 및 방역법

질병청의 빈대 대응 방안에 따르면 50~60도의 고온으로 빈대를 처리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스팀이 있을 경우 이를 대가 서식하는 가구 틈과 벽 틈에 분사하거나, ㅅ오염 직물은 건조기에 약 30분 이상 처리하면 방제가 가능합니다. 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해 제거하는 방법도 권고되고 있습니다. 가전 가운데 고온 코스가 탑재된 세탁기, 청소기, 의류 건조기 등을 활용하거나 스팀 다리미를 이용하면 빈대 박멸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빈대 퇴치법, 빈대 방역법

 

1. 침대 매트리스, 프레임, 소파 등의 틈새를 살핍니다.

2. 스팀기 혹은 헤어 드라이기로 빈대가 날리지 않게 약하고 뜨거운 바람을 분사합니다.

3. 진공 청소기로 오염된 모든 장소 주변의 성충, 약충, 알을 포집해서 제거합니다.

4. 진공청소기 흡입물을 봉투에 밀봉해서 폐기합니다.

5. 오염된 의류, 커튼, 침대 커버 등은 50~60도로  30분 이상 세탁합니다.

6. 빈대 출몰 위치와 그 주변, 틈새 부분을 스팀기를 이용해 뜨거운 스팀을 분사합니다.

7. 살충제를 사용합니다.

 

 

 

빈대 살충제 사용시 주의사항

빈대 살충제, 주의사항

1. 환경부에서 허가한 살충제를 이용합니다.

2, 가정에서 보건용 살충제를 사용 시에도 마스크와 보호구 착용이 필수입니다.

3. 필요한 곳에 최소한만 사용합니다.

4. 작업 후 충분히 환기시킵니다.

5. 신체가 직접 접촉하는 의류나 침구류 등에는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6. 방제 후 재확인 필수

빈대 서식지는 깊숙한 곳이 많아 한 번의 방제로 부족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빈대 알이 부화하는 시기를 고려해서 7~14일 후 서식지 주변을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빈대 신고

1. 국민콜 110

2. 지자체 보건소

 

 

 

빈대 방제 문의

- 한국방역협회

 

중앙 02-467-7630 
서울 02-431-9777 
경기 031-623-2061 
인천 032-764-0665 
강원 033-742-1677 
대전 042-533-7172 
충북 043-263-5119 
충남 041-575-7905 
세종 044-864-7484 
전북 063-841-2399
전남 061-434-8585

 

 

 

반응형